J Korean Ophthalmol Soc > Volume 64(6); 2023 > Article
국소 망막박리를 동반한 망막열공 환자에서 레이저 망막유착술 시행 후 발생한 전체층황반원공 1예

국문초록

목적

국소 망막박리를 동반한 망막열공 환자에서 레이저 망막유착술 시행 후 전체층황반원공이 발생한 증례를 경험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59세 남자 환자가 내원 당일 발생한 양안의 불편감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우안의 나안시력은 0.63이었으며 안저검사상 우안 상비측에 국소 망막박리를 동반한 망막열공이 관찰되었다. 빛간섭단층촬영검사에서 우안에 후유리체박리 혹은 유리체황반유착이나 견인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에 광범위한 레이저 망막유착술을 시행하였다. 3개월 후 환자의 우안 나안시력이 0.16으로 저하되어 내원하여 시행한 빛간섭단층촬영검사에서 우안 전체층황반원공이 관찰되었다. 이에 우안 유리체절제술, 내경계막제거술 및 유리체 내 육불화황가스 주입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1개월 후 전체층황반원공이 폐쇄된 것을 확인하였다. 3개월 후 우안 나안시력의 호전이 보였으며 전체층황반원공의 재발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국소적인 망막박리를 동반한 망막열공 환자에서 레이저 망막유착술을 시행하는 경우, 드물게 전체층황반원공이 발생할 수 있다. 드물지만 심각한 시력저하를 초래할 수 있는 전체층황반원공의 발생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경과 관찰이 필요하다.

ABSTRACT

Purpose

To report a case of full-thickness macular hole (FTMH) formation secondary to demarcation laser retinopexy in a retinal break with localized retinal detachment patient.

Case summary

A 59-year-old male visited our clinic with ocular discomfort in both eyes. Uncorrected visual acuity (UCVA) was 0.63 in right eye. Large retinal break in 1:30 o/c, localized retinal detachment and laser marking scars all around the right eye were found in fundoscopic exam. Posterior-vitreous detachment or vitreomacular traction was not observed 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Demarcation laser retinopexy was performed around the margin of retinal detachment and peripheral degenerative lesions. Three months after demarcation laser retinopexy, UCVA in right eye of the patient was decreased to 0.16 and full thickness macular hole was observed on OCT examination. Pars planar vitrectomy, internal limiting membrane peeling, and SF6 gas tamponade were performed in the right eye. One month after the surgery, closure of FTMH was observed. Three months after surgery, there were no recurrence of FTMH in the right eye.

Conclusions

Demarcation laser photocoagulation of localized retinal detachments may predispose to FTMH formation. Even though it can be occurred rarely, follow-up check-up is necessary in consideration of the possibility of FTMH, which can cause serious visual loss.

망막열공의 치료는 망막박리로의 진행 위험이 있거나 주변부에 국한된 국소적인 망막박리가 동반되어 있는 경우에 시도하며, 치료 방법으로는 레이저 망막유착술, 냉동유착술 등이 주로 시행된다.1,2 레이저 망막유착술은 감각신경망막과 망막색소상피의 빠른 유착을 촉진시키며, 생성된 레이저 반흔은 망막하액이 퍼지는 것을 막는 장벽의 역할을 하여 망막박리로의 진행을 막게 된다.3 레이저 망막유착술의 합병증은 드물게 보고되어 있으나, 일부에서는 후유리체박리 혹은 새로운 망막열공이 유발되거나 망막전막과 유리체 출혈 등이 발생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4 그러나 레이저 망막유착술 후 전체층황반원공이 발생한 예는 전세계적으로 매우 드물며 한국인에서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저자들은 국소 망막박리를 동반한 망막열공에 대한 레이저 망막유착술 시행 후 발생한 전체층황반원공에 대한 증례를 경험하여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헬싱키선언을 준수하였으며,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윤리심의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의 승인을 받아 진행하였다(IRB no 2022-04-005-006).

증례보고

59세 남자 환자가 양안의 불편감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나안시력은 우안 0.63, 좌안은 1.0이었다. 현성굴절검사 결과는 우안 -1.75 구면 디옵터, 좌안 +0.25 구면 디옵터였으며, 안축장의 길이는 우안 24.74 mm, 좌안 23.94 mm였다. 양안 모두 인공수정체안이었으며 세극등현미경검사에서 특이 소견은 보이지 않았으나, 안저검사에서 우안 상비측에 국소 망막박리를 동반한 망막열공과 망막 주변부에 광범위한 레이저 반흔이 관찰되었다(Fig. 1A). 빛간섭단층촬영검사에서 후유리체박리 및 유리체황반견인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Fig. 1B). 이에 박리된 망막의 경계와 주변부 망막의 변성 부위를 포함한 경계부에 레이저 망막유착술을 시행하였다. 시행 1개월 후 우안 나안시력은 0.4로 측정되었으며 안저검사 결과 주변부 망막에 레이저로 인한 반흔이 잘 형성되고 이전에 비해 망막박리가 진행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Fig. 1C). 레이저 망막유착술 시행 3개월 후 환자가 우안 시 저하를 호소하며 내원하였는데, 우안 나안시력은 0.16으로 저하되어 있었으며 우안에 전체층황반원공이 발견되었다(Fig. 2A). 빛간섭단층촬영검사에서 유리체황반견인 소견은 보이지 않았으나, 황반 주변부에서는 후유리체박리가 관찰되었다(Fig. 2B). 이에 우안 유리체절제술, 내경계막제거술 및 유리체 내 육불화황주입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1개월 후 전체층황반원공이 폐쇄된 것을 확인하였다. 수술 3개월 후 우안 나안시력은 0.32로 호전되었으며, 전체층황반원공은 폐쇄된 상태로 현재까지 재발 없이 외래에서 경과 관찰 중이다(Fig. 2C).

고 찰

황반원공은 특발성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외상과 약물, 안구 내 염증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이차성 황반원공이 발생할 수 있고,5-7 광응고 레이저를 이용한 망막유착술 후에도 전체층황반원공이 발생할 수 있음이 보고되어 있다.8
주변부 유리체망막 경계면은 분리되어 있되, 유리체피질이 황반에 유착되어 있는 상태는 특발성 전체층황반원공의 형성에 관련된 초기 소견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 결과로 황반에 작용하는 견인력으로 망막 내 낭종이나 국소 바깥 망막층 파열, 중심와 박리가 발생한다. 이러한 견인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하면 중심와 조직이 파열되어 전체층황반원 공이 발생하게 된다.9-12
본 증례의 경우 황반원공의 발생 기전은 명확하지는 않으나 여러 요인들이 전체층황반원공 형성에 관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먼저, 레이저 망막유착술 이후 점진적으로 유리체와 황반부 사이의 공간이 벌어지면서 망막하액이 황반부에 노출되고, 이 과정에서 망막하액 내의 여러 인자들이 황반 주위의 수축을 유발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기저 맥락막으로부터의 혈액공급이 줄어든 박리된 망막에 시행된 레이저가 허혈을 더욱 악화시켜, 이 과정에서 유리체와 황반부 간의 견인력이 더욱 촉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허혈이 심한 증식당뇨망막병증 환자에서 범망막광응고 후 전체층황반원공의 발생을 보고한 증례가 이를 뒷받침해준다고 할 수 있다. Kumar et al13에 의하면 증식성당뇨망막병증 환자에서 시력저하, 황반 관여 증상이 보이지 않아 유리체황반견인과 황반부종이 있음에도 범망막광응고를 시행한 후 전체층황반원공이 발생하였다. 레이저광응고 시행 후 악화된 망막의 허혈이 혈관내피성장인자의 작용을 저하시켜 섬유화를 유발하였을 것으로 보았다.13 본 증례에서도 망막전막과 유리체황반유착으로 황반에 견인력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광응고레이저 시행 후 레이저 반흔이 섬유화되며 망막표면과 유리체경계면에 장력이 유발되고, 이로 인해 황반에 가해지는 견인력이 증가하여 황반 미세구조의 변화가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레이저 반흔은 시간에 따라 서서히 수축하게 되는데, 본 증례의 경우와 같이 레이저 망막유착술 후 수개월의 시간이 경과한 후 황반 원공이 발생하는 것이 이러한 가설을 뒷받침해준다고 할 수 있다. 본 증례 환자의 경우 우안 망막 주변부에 360도로 광응고레이저를 시행받은 과거력이 있어 망막의 섬유화가 진행되어 있었으며 견인력이 작용하고 있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는, 후유리체박리의 진행이다. 본 증례에서도 레이저 치료 전에는 후유리체박리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레이저 후 유착되어 있던 유리체황반부가 점진적으로 박리되는 것이 확인되었고, 이것이 전체층황반원공의 발생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Yagi et al14은 전체층황 반원공 환자에서 망막열공 혹은 격자형망막변성 소견이 관찰되는 비율이 35.4%로 망막전막 환자(4.9%)와 비교해 매우 높다고 보고하였는데, 본 증례에서도 레이저 망막유착술뿐만 아니라 망막열공을 유발할 정도의 강한 유리체-망막유착이 전체층황반원공의 발생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10 다만, 특발성 전체층황반원공에서 흔히 관찰되는 뚜렷한 유리체-황반견인이 확인되지는 않아, 특발성보다는 앞서 논의한 기전으로 레이저 망막유착술에 의해 전체층황반원공이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사료된다.14
국소 망막박리를 동반한 망막열공 환자에서 레이저 망막유착술 시행 후 전체층황반원공이 발생한 증례를 경험하였다. 레이저 망막유착술 시행 후 전체층황반원공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하며, 특히 수개월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발생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경과 관찰이 필요하다.

NOTES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to disclose.

Figure 1.
Ultra-wide field fundus photogragh of a 59-year-old man in the right eye. (A) Near-infrared image of the right eye with epiretinal membrane. (B)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demonstrates thin epiretinal membrane without posterior vitreous detachment or vitreomacular traction. (C) Infrared image of right eye with vitreoretinal adhesion. (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hows vitreoretinal adhesion before laser retinopexy. (E) Retinal break with localized retinal detachment (arrows) is observed in the superonasal side of the fundus. Previous laser scars are also observed in the periphery. (F) One month after laser retinopexy, laser scar was well formed around the retinal break.
jkos-2023-64-6-545f1.jpg
Figure 2.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findings 3 months after laser retinopexy. (A) Infrared image of the site of full-thickness macular hole. (B) Development of full-thickness macular hole (dotted circle) was observed. (C) Infrared image of the site showing partial posterior-vitreous detachment. (D) Partial posterior-vitreous detachment (arrows) was found in the perifovea. (E) Infrared image of macular after pars plana vitrectomy. (F) 3 months after the surgery, sealed macular hole remained stable without recurrence.
jkos-2023-64-6-545f2.jpg

REFERENCES

1) Davis JL, Hummer J, Feuer WJ. Laser photocoagulation for retinal detachments and retinal tears in cytomegalovirus retinitis. Ophthalmology 1997 104:2053-60. discussion 2060-1.
crossref pmid
2) McCluskey P, Grigg J, Playfair TJ. Retinal detachments in patients with AIDS and CMV retinopathy: a role for laser photocoagulation. Br J Ophthalmol 1995;79:153-6.
crossref pmid pmc
3) Folk JC, Sneed SR, Folberg R, et al. Early retinal adhesion from laser photocoagulation. Ophthalmology 1989;96:1523-5.
crossref pmid
4) Greenberg PB, Baumal CR. Laser therapy for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Curr Opin Ophthalmol 2001;12:171-4.
crossref pmid
5) Kim BH, Cha DM, Yu HG. A case of full thickness macular hole secondary to old traumatic choroidal rupture. J Korean Ophthalmol Soc 2014;55:312-6.
crossref
6) Panos GD, Gatzioufas Z. Macular hole formation after toxoplasmic retinochoroiditis: coincidence or rare complication? Int Ophthalmol 2013;33:219.
crossref pmid pdf
7) Torrell Belzach N, Vela Segarra JI, Crespí Vilimelis J, Alhayek M. Bilateral macular hole related to tamoxifen low-dose toxicity. Case Rep Ophthalmol 2020;11:528-33.
crossref pmid pmc pdf
8) Rusu IM, Zizva J, Myung JS, Wald K. Delayed macular hole formation after demarcation laser photocoagulation for subclinical retinal detachment. Clin Ophthalmol 2014;8:915-7.
crossref pmid pmc
9) Johnson MW. Improvements in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macular hole. Curr Opin Ophthalmol 2002;13:152-60.
crossref pmid
10) Haouchine B, Massin P, Gaudric A. Foveal pseudocyst as the first step in macular hole formation: a prospective study by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phthalmology 2001;108:15-22.
crossref pmid
11) Hussain N, Hussain A, Natarajan S. Optical coherence tomographic evaluation of foveal pseudocyst in the formation of macular hole. Indian J Ophthalmol 2003;51:353-5.
pmid
12) Gass JD. Idiopathic senile macular hole. Its early stages and pathogenesis. Arch Ophthalmol 1988;106:629-39.
crossref pmid
13) Kumar V, Surve A, Mondal S, Azad SV. Macular hole formation following panretinal photocoagulation in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BMJ Case Rep 2021;14:e240730.
crossref pmid pmc
14) Yagi F, Takagi S, Tomita G. Incidence and causes of iatrogenic retinal breaks in idiopathic macular hole and epiretinal membrane. Semin Ophthalmol 2014;29:66-9.
crossref pmid

Biography

이가혜 / Gahye Lee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안과학교실
Department of Ophthalmology, Dongguk university Ilsan Hospital
jkos-2023-64-6-545i1.jpg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SKY 1004 Building #701
50-1 Jungnim-ro, Jung-gu, Seoul 04508, Korea
Tel: +82-2-583-6520    Fax: +82-2-583-6521    E-mail: kos08@ophthalmology.org                

Copyright © 2024 by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