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Ophthalmol Soc > Volume 63(5); 2022 > Article
해리수직편위를 동반한 양안 하사근기능항진 환자에서 시행한 비대칭적 양안 하사근전치술

국문초록

목적

하사근기능항진이 동반된 해리수직편위는 영아내사시나 영아외사시에서 이차적으로 잘 발생한다. 하사근기능항진과 해리수직 편위를 교정하기 위해서 대부분의 수술의들이 비대칭적으로 양안 하사근전치술을 시행하고 있지만, 수술량에 대해 정립되어 있는 것이 없었다. 이 연구에서는 일정한 기준으로 양안의 비대칭적 하사근전치술을 시행한 후 성공적인 결과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고려대학교 의료원에서 영아사시로 수평근수술을 받았던 환자 중 양안 하사근기능항진이 동반된 해리수직편위로 2013 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양안 하사근전치술을 시행받은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양안의 하사근의 새로운 부착부의 위치는 수술 전 측정한 양안의 해리수직편위 각도의 차이에 따라 결정하였다. 수술 한 달 후 양안의 해리수직편위 각도의 차이가 5프리즘디옵터 미만으로 감소하였을 때 성공적으로 교정되었다고 정의하여 분석하였다. 항상전증후군을 피하기 위해 하사근은 모두 적도부 근처에 부착하였다.

결과

총 23명의 환자들을 분석했고, 이 중 12명은 추가적으로 수평근수술을 시행하였다. 양안의 해리수직편위의 차이와 하사근기능 항진 정도는 수술 후 유의하게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항상전증후군을 보이는 환자는 없었다.

결론

양안에 대칭적 또는 비대칭적으로 하사근전치술의 수술량을 결정할 때 수술 전 해리수직편위각도의 차이를 반영하여야 한다.

ABSTRACT

Purpose

Inferior oblique overaction with a dissociated vertical deviation occurs secondary to infantile exotropia or esotropia. In terms of correction, asymmetric bilateral inferior oblique transposition has been the treatment of choice, but the surgical amount depended largely on the surgeon’s experience. We report successful bilateral inferior oblique transposition using our own standard methods.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medical chart review of patients with bilateral inferior oblique overaction and dissociated vertical deviation who underwent bilateral inferior oblique transposition at the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January 2013 to December 2020. We performed either symmetric or asymmetric transposition; the reattachment sites of the bilateral inferior obliques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preoperative differences of the inter-eye deviations of dissociated vertical deviation. When the differences were < 5 prism diopters, correction was considered successful. To avoid the development of anti- elevation syndrome, the inferior oblique muscles were re-attached near the equator.

Results

Twenty-three patients were analyzed, all of whom underwent bilateral inferior oblique transposition; 12 required additional horizontal muscle surgery. The deviation difference (both eyes) and inferior oblique overaction grade were significantly lower postoperatively. We did not encounter any case of anti-elevation syndrome.

Conclusions

The surgical extent of asymmetric bilateral inferior oblique transposition should reflect the difference in dissociated vertical deviation the two eyes.

하사근기능항진과 해리수직편위(inferior oblique overaction [IOOA] and dissociated vertical deviation [DVD])는 영아사시에서 양안에 흔히 발생하고 그 빈도는 영아내사시에서 76-88%, 영아외사시에서 50%로 보고되어 있다[1,2]. DVD와 IOOA가 동반되어 있을 때는 여러 하사근약화술 중 후전술이나 절제술은 제일안위의 DVD를 성공적으로 조절하지 못하기 때문에 하사근의 전치술(anterior transposition) 또는 다양한 수정된 전치술(modified anterior transposition)을 시행하여 DVD와 IOOA를 동시에 교정하려고 시도하게 된다[3].
Kushner [4]는 양안의 상사근마비 때 양안의 비대칭 하사근후전술을 시행하여 성공적인 수술 결과를 보고하였고 하사근절제술은 대칭적으로 시행하여도 양안의 수직사시 정도는 대칭성을 보였다는 보고도 있다[5]. 양안 상사근마비와 마찬가지로 DVD와 IOOA는 양안에 대칭적으로 존재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양안에 하사근전치술(bilateral inferior oblique transposition, BIOT)을 시행할 때는 수술의들마다 약간의 비대칭적 수술을 시행하게 되나 그 정도와 기준은 아직 정립되어 있지 않다. 또한, IOOA를 동반한 DVD 환자에서 BIOT 및 병행한 수평근수술의 전과 후의 동반된 수평사시에 대한 효과에 대해서는 이전 연구에서 보고한 바 있다[6]. 이 연구는 영아사시 환자에서 수평근수술을 시행한 후 IOOA가 동반된 DVD에서 그 정도에 따라 비대칭적으로 modified BIOT7를 시행한 후 교정된 DVD의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고려대학교 의료원에서 영아내사시 또는 영아외사시로 수평근수술을 시행하였던 환자들 중 2013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IOOA를 동반한 DVD로 modified BIOT를 시행받고 한 달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모든 환자에 대해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했다. 총 23명의 환자들이 모집되었으며, 모든 환자들은 영아내사시 또는 영아외사시의 진단 하에 수평근수술을 시행했던 과거력이 있었다. 이전에 마비사시 또는 제한사시가 있었거나, 수직근 또는 하사근수술을 시행 받은 경우, 또는 안구의 정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신경과적 혹은 전신질환이 있는 경우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본 연구는 고려대학교 의료원 임상연구윤리심의의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승인 번호: 2021AN0386)의 승인을 받았으며, 헬싱키선언(Declaration of Helsinki)을 준수하였다.
DVD는 제1안위에서 6 m 거리(원거리)와 30 cm 거리(근거리)의 고정된 목표물을 주시하며 교대프리즘가림검사를 시행하여 측정하였다. 수평사시가 함께 동반된 경우 DVD를 측정하려고 하는 눈의 반대쪽에 수평사시를 교정할 수 있는 프리즘을 댄 후 DVD를 측정하였다. IOOA는 안구를 내전시 상전 및 외회선되는 정도에 따라 +1에서 +4까지 분류하였다. 모든 안과 검사는 시력을 최대로 교정한 후 시행하였으며 한 명의 검사자에 의해 측정 및 기록되었다. 또한 수술 중 견인검사를 시행하여 상사근마비가 동반된 환자는 결과 분석에서 배제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한 명의 수술자에게 비대칭적 modified BIOT를 시행 받았으며, 동반된 내사시 또는 외사시도 함께 교정하기 위한 수술을 받았다. 안구의 하이측 결막원개 절개법을 이용하여 결막과 테논낭의 일부를 절제하여 하사근을 노출하였다. 하사근을 주변부의 테논낭 및 근막으로부터 분리하고, 하사근의 부착 부위의 전방 근섬유에 6-0 Vicryl을 이용하여 전치봉합(preplaced suture)을 시행한 후 Wescott 가위를 사용하여 절제하였다. 후방 근섬유는 중간 근육으로 합류하여 6-0 Vicryl로 봉합하였다. 하사근의 전방 근섬유를 하직근의 외측 부착부에서 이측으로 0.5 mm 옆, 후방으로는 적도부 또는 적도부에서 1 mm 이내의 공막에 부착할 수 있도록 봉합하였다. 하직근의 외측 부착부와 하사근의 새로운 부착 지점의 거리 차이는 수직사시의 정도에 따라 양안의 길이 차이를 두어 비대칭적으로 전치술을 시행하였다[7].
수술량을 결정하기 위해서 수술 전 측정한 원거리 DVD의 양안 차이가 5프리즘디옵터 이하인 경우 양안의 하사근 부착부의 위치 차이는 0 mm, 5프리즘디옵터 초과 10프리 즘디옵터 이하인 경우에는 1 mm, 10프리즘디옵터 초과인 15프리즘디옵터 이하인 경우는 2 mm, 15프리즘디옵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3 mm의 차이를 두어 수술을 시행하였다(Table 1). 수술 후 항상전증후군을 최소화하기 위해 하사근의 부착부를 적도 근처로 하여 하사근을 부착했으며[7] 적도부의 위치는 대략 하직근 부착부로부터 5.5 mm 위치인 것을 감안하여 안구의 만곡도가 달라지는 위치인지를 확인하고 부착하였다[8].
환자들은 수술 시행 후 다음 날, 1주일 후, 1달 후 외래에 내원하여 근거리와 원거리에서 교대프리즘가림검사를 시행하여 잔여 DVD의 양을 측정하였다. 또한, 외안근 기능검사를 통해 IOOA의 교정 정도를 확인하였다. 한 달 후 원거리에서 DVD 사시각의 차이가 5프리즘디옵터 미만으로 감소하였을 때 DVD가 성공적으로 교정된 것으로 간주하여 단일표본 Wilcoxon 서명된 순위 검정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IOOA는 수술 전과 후의 grade를 비교하여 대응표본 Wilcoxon 서명된 순위 검정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결 과

총 23명의 환자를 분석했고 환자들의 평균나이는 3.8세(2-9세)였으며 이 중 11명은 modified BIOT만, 12명은 수평근수술을 함께 시행하였다. 하직근으로부터 새로운 하사근 부착 부위의 거리를 양안 동일하게 시행한 환자는 4명, 양안 1 mm 차이를 둔 환자는 13명, 2 mm 차이를 둔 환자는 5명이었고 1명만이 양안의 3 mm 차이를 갖도록 수술을 시행했으며 양안 길이 차이의 평균은 1.17 mm였고 중앙값은 1 mm였다.
전체 환자의 나이와 수술 전과 수술 후의 DVD 측정값, IOOA grade 및 시행한 수술의 종류는 Table 2에 정리하였다. 모든 환자는 수술 전에 2+ 이상의 IOOA를 가지고 있었고, 수술 후 1+ 이하로 감소하였다(Table 3). 수술 한 달 후 모두 DVD도 5프리즘디옵터 이내로 나타났으며, 중앙값이 0프리즘디옵터였고 이 중 16명의 환자에서는 정위를 보였다(Table 2, 3). 수술 후에 명백하게 항상전증후군이 나타난 환자는 없었으며 수술 전의 눈 정렬 및 운동 이상이 모든 환자에서 교정되었다.

고 찰

하사근전치술은 1978년 Scott에 의해 처음 제안된 수술법으로 하사근의 위치를 하직근의 부착부 근처로 옮기면서 하사근의 상전 기능을 하전 기능으로 방향을 바꾸도록 하여 상사시를 교정하였다[9]. 이후 IOOA에서 하사근전치술의 성공적인 결과들이 보고되었으며[10] 하사근전치술이 하사근약화술 중 가장 강력한 수술 방법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하사근의 부착부가 적도부 앞쪽으로 부착되면 제한성 사시인 항상전증후군이 발생하게 된다[11,12]. 항상전증후군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하사근의 새로운 부착 부위를 하직근 부착부가 아닌 적도부를 기준으로 해서 부착해야 하고[7] 저자들은 이 방법으로 modified BIOT를 시행했다.
영아내사시 또는 영아외사시에서 수평근수술을 시행한 후 50-88%에서 IOOA와 동반된 DVD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큰 사시각의 DVD가 있거나 이상 두위를 동반하거나 심한 IOOA에서 수술 적응증이 되며[2], Ha et al. [6]은 영아사시에서 IOOA와 동반된 DVD가 수평근수술 후의 안정적인 안구 정렬을 방해할 때 BIOT를 시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하였다.
양안 상사근마비가 있을 때도 양안의 하사근약화술을 동시에 시행하며 이 경우 단안에서만 하사근약화술을 시행하는 경우 반대안의 IOOA가 더 악화되므로 양안에서 수술을 시행하여야 한다. 양안 상사근마비에서 이차적으로 하사근항진이 발생하며 그 항진 정도가 비대칭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하사근후전술을 비대칭적으로 시행하여 성공적인 결과를 보고하였다[4]. 한편, 하사근절제술을 시행하는 경우는 대칭적으로 시행하였을 때도 양안의 수직사시는 대칭성을 보였다고 한다[5]. IOOA를 동반한 DVD에서 시행하는 하사근전치술도 양안에 시행할 때 비대칭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합리적이나 수술량과 부착 위치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보고된 바 없어 보통 수술자의 경험을 통해 주관적으로 결정하여 시행하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수술 전 양안 DVD의 사시각 차이에 따라서 앞서 서술한 구체적인 기준을 적용하여 양안의 하사근 위치를 달리 하였고, 적도 부근에 부착하였다. 그 결과, 양안의 IOOA가 효과적으로 교정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DVD의 대칭성을 획득할 수 있었다(Fig. 1). 옮겨진 하사근의 부착부를 적도 근처로 부착하여 수술 후 뚜렷한 항상전증후군을 보이는 환자는 관찰되지 않았다. 적은 환자 수와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의 한계, 짧은 경과 관찰 기간(한 달)이 이 연구의 제한점이다. 이 연구는 장기적 관찰 연구가 아니므로 사시수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술 후 한 달 후의 측정치를 기준으로 하였다. 결론적으로, IOOA를 동반한 DVD 환자에서 BIOT를 시행할 때 수술 전 평가한 양안의 DVD 정도의 차이에 따라 양안 하사근의 새로운 부착부의 위치를 결정하여 부착한다면 좋은 수술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NOTES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to disclose.

Figure 1.
(A) Preoperative, (B) postoperative nine-gaze photos of patient #22. Decreased bilateral inferior oblique overaction was identified.
jkos-2022-63-5-461f1.jpg
Table 1.
Amounts of surgery
Preoperative bilateral DVD difference Location difference of bilateral inferior oblique reattachment sites (mm)
≤ 5 PD 0 (Symmetric bilateral inferior oblique transposition)
> 5 PD, ≤ 10 PD 1
> 10 PD, ≤ 15 PD 2
> 15 PD 3

DVD = dissociated vertical deviation; PD = prism diopters.

Table 2.
Basic characteristics and measurements of patients
Number Age (years) Preoperative DVD (PD) Preoperative IOOA Surgery Postoperative DVD (PD) Postoperative IOOA
1 3 0 3 BIOT (5 mm/5 mm)*, LMR res (4.5 mm) 0 1
2 3 0 3 BIOT (5.5 mm/5.5 mm), RLR res (5 mm) 0 1
3 2 0 3 BIOT (6 mm/6 mm), BMR rec (4.5 mm/5 mm) 0 0
4 4 0 3 BIOT (5.5 mm/5 mm), LLR res (2.5 mm) 0 0.5
5 3 0 3 BIOT (5 mm/6 mm), LLR rec (6 mm) 0 0.5
6 4 0 2 BIOT (5 mm/6 mm), RMR res (4.5 mm) 0 0
7 3 4 2.5 BIOT (5 mm/6 mm) 2 0.5
8 2 0 2 BIOT (6 mm/5 mm), RMR res (4.5 mm) 0 0
9 3 8 2 BIOT (5.5 mm/6.5 mm) 0 1
10 5 2 2 BIOT (6 mm/5 mm) 0 1
11 7 12 3 BIOT (4 mm/5 mm) 3 0
12 2 4 3 BIOT (1 mm anterior to E/0 mm from E), 0 0
13 4 0 2 BIOT (5 mm/6 mm), LLR res (5 mm) 0 0
14 4 0 2.5 BIOT (9 mm/8 mm), LLR res (4.5 mm) 2 0
15 4 4 3 BIOT (9 mm/8 mm), LMR rec (6 mm) 0 1
16 7 10 3 BIOT (5 mm/6 mm), 2 1
17 3 0 3 BIOT (6 mm/5 mm) 0 0.5
18 4 8 2.5 BIOT (5 mm/7 mm), 0 0.5
19 4 6 3 BIOT (5 mm/7 mm), RLR res (3 mm) 0 0
20 3 8 3 BIOT (4 mm/6 mm) 3 0
21 9 0 2.5 BIOT (5 mm/7 mm), 0 0.5
22 3 8 2.5 BIOT (1 mm anterior to E/1 mm posterior to E), RMR rec (4 mm) 2 0
23 2 16 2.5 BIOT (5 mm/8 mm), 4 0

DVD = dissociated vertical deviation; PD = prism diopters; IOOA = inferior oblique overaction; BIOT = bilateral inferior oblique transposition; LMR = left medial rectus; res = resection; RLR = right lateral rectus; BMR = bilateral medial rectus; LLR = left lateral rectus; rec = recession; RMR = right medial rectus; E = equator.

* The distances between the inferior rectus and the transpositioned inferior oblique in right and left eye were written inside parenthesis respectively.

Table 3.
Postoperative outcomes of dissociated vertical deviation and inferior oblique overaction
DVD Value
 Postoperative median 0 Δ
p-value* 0.00
IOOA
 Preoperative median +3
 Postoperative median +0.5
p-value* 0.00

DVD = dissociated vertical deviation; IOOA = inferior oblique overaction.

* Wilcoxon signed-rank test.

REFERENCES

1) Tychsen L. Infantile esotropia: current neurophysiologic concepts. In: Rosenbaum AL, Santiago AP, ed. Clinical strabismus management: principles and surgical techniques. Philadelphia: WB Saunders, 1999;117-38.
2) Kraft SP. Infantile exotropia. In: Rosenbaum AL, Santiago AP, ed. Clinical strabismus management: principles and surgical techniques. Philadelphia: WB Saunders, 1999;176-81.
3) The Korean Association Pediatric Ophthalmology and Strabismus. Current concepts in strabismus, 3rd ed. Goyang: Publishing Company Naewae Haksool, 2018;255.
4) Kushner BJ.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bilateral masked superior oblique palsy. Am J Ophthalmol 1988;105:186-94.
crossref pmid
5) Awadein A, Gawdat G. Bilateral inferior oblique myectomy for asymmetric primary inferior oblique overaction. J AAPOS 2008;12:560-4.
crossref pmid
6) Ha SG, Na GH, Kim SH. A valid indication and the effect of bilateral inferior oblique transposition on recurrent or consecutive horizontal deviation in infantile strabismus. Korean J Ophthalmol 2017;31:138-42.
crossref pmid pmc pdf
7) Yoo EJ, Kim SH. Modified inferior oblique transposition considering the equator for primary inferior oblique overaction (IOOA) associated with dissociated vertical deviation (DVD). Strabismus 2014;22:13-7.
crossref pmid
8) Kim S, Suh Y, Cho YA. Simple formula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equator. Clin Exp Ophthalmol 2005;33:126-8.
crossref pmid
9) Scott AB. Planning inferior oblique muscle surgery. In: Reinecke RD, ed. Strabismus. New York: Grune and Stratton, 1978;347-54.
10) Mims JL 3rd, Wood RC. Antielevation syndrome after bilateral anterior transposition of the inferior oblique muscles: incidence and prevention. J AAPOS 1999;3:333-6.
crossref pmid
11) Kushner BJ. Restriction of elevation in abduction after inferior oblique anteriorization. J AAPOS 1997;1:55-62.
crossref pmid
12) Cho YA, Kim JH, Kim S. Antielevation syndrome after unilateral anteriorization of the inferior oblique muscle. Korean J Ophthalmol 2006;20:118-23.
crossref pmid pmc

Biography

박원경 / Won Kyung Park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안과
Department of Ophthalmology,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jkos-2022-63-5-461i1.jpg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SKY 1004 Building #701
50-1 Jungnim-ro, Jung-gu, Seoul 04508, Korea
Tel: +82-2-583-6520    Fax: +82-2-583-6521    E-mail: kos08@ophthalmology.org                

Copyright © 2024 by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