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Ophthalmol Soc > Volume 65(7); 2024 > Article
빛간섭단층촬영으로 측정한 시신경유두 및 황반부 구조 분석에 백내장이 미치는 영향

국문초록

목적

녹내장 및 대조군에서 시신경유두지표(시신경유두 면적, 시신경테 면적, 평균유두함몰비, 수직유두함몰비, 유두함몰 용적),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 두께에 대한 백내장의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21년 1월부터 12월까지 백내장수술을 받은 정상, 녹내장 의증, 녹내장 환자 총 44명 63안의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을 사용하여 백내장수술 전과 후에 시신경유두지표,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 두께를 측정하였다. 수술 전후 지표들의 변화 및 수술 전 분할 오류(segmentation error)와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였다.

결과

녹내장 환자에서 수술 후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평균 두께(p=0.002)는 증가하고, 시신경유두지표와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 평균 두께는 수술 전후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all p>0.05). 반면, 대조군에서는 일부 구역별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 두께가 술 후 증가하였다(p<0.05). 다변량 회귀분석에서 녹내장 환자의 수술 전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 평균 두께가 얇을수록 수술 후 평균 두께가 증가하였다(각각 p<0.001, p=0.008).

결론

녹내장 환자에서 백내장으로 인한 두께 감소는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에서 나타나지만, 시신경유두지표는 백내장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아 백내장과 녹내장이 동시에 진행된 환자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Purpose

To assess the impact of cataract on optic nerve head (ONH) parameters (disc area, rim area, average cup/disc ratio, vertical cup/disc ratio, cup volume), peripapillary retinal nerve fiber layer (pRNFL) thickness, and macular ganglion cell-inner plexiform layer (mGC-IPL) thickness in patients with glaucoma and in a control group.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medical records from January to December 2021 for individuals undergoing cataract surgery. This group included normal, glaucoma suspects, and glaucoma patients, totaling 44 individuals and 63 eyes. Measurements of ONH parameters, pRNFL thickness, and mGC-IPL thickness were taken using 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before and after surgery. We analyzed postoperative changes in these parameters and related factors to preoperative segmentation errors.

Results

In glaucoma patient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pRNFL (p = 0.002) was observed after surgery, while no significant changes were seen in ONH parameters and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mGC-IPL (all p > 0.05). Conversely, the control group showed an increase in some areas of mGC-IPL thickness after surgery (p < 0.05).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in glaucoma patients, thinner preoperative pRNFL and mGC-IPL thickness were predictors of increased average thickness after surgery (p < 0.001 and p = 0.008, respectively).

Conclusions

Cataract significantly impacts the pRNFL and mGC-IPL thickness in glaucoma patients, with less effect on ONH paramete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ONH parameters can be more reliable for monitoring patients undergoing cataract surgery and assessing glaucoma progression simultaneously.

빛간섭단층촬영(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은 생체 조직을 실시간으로 미세한 해상도로 비침습적으로 보여주는 의료 영상 기술이다.1 광선의 반사 시간 지연과 강도를 측정하여 녹내장과 황반 질환 등과 같은 눈의 병리적 상태를 진단하고 추적하는 데 널리 사용된다. OCT를 통해 시신경유두의 변화,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peripapillary retinal nerve fiber layer, pRNFL) 두께, 황반부의 신경절세포층과 망막내망상층(macular ganglion cell-inner plexiform layer, mGC-IPL)의 두께를 양적으로 측정할 수 있어 녹내장과 같은 신경퇴화성 질환의 진단과 추적에 유용한 도구로 사용된다.2,3
그러나 건조한 각막표면,4 동공 크기,5,6 백내장5,7-12과 같은 여러 요인들이 OCT 결과의 해상도와 정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황반부와 시신경유두 주위 단면 영상의 측정값이 이러한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하지 않으면 OCT 결과를 올바르게 해석하기 어렵다.
특히 노인 환자에서 녹내장과 백내장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여러 연구에서 백내장에 의한 OCT 측정값의 변화와 임상적 중요성을 검토한 여러 연구들이 있다. El-Ashry7에 의한 연구는 백내장으로 인한 렌즈 혼탁이 시간영역 빛간섭단층촬영(time-domain OCT)에서 이미지 해상도를 저하시키며 백내장수술 후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이 두껍게 측정된다고 보고하였다. Kim et al9에 의한 연구에서는 시간영역 빛간섭단층촬영과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spectral-domain OCT, SD-OCT)에 의한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측정값에 백내장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백내장의 정도가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측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백내장수술을 통해 측정값이 변경될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Choi and Seol12에 의한 연구에서는 백내장이 스웹트-근원 빛간섭단층촬영(swept-source OCT)이미지 해상도를 저하시키며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과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 두께를 실제보다 얇게 측정하게 만든다고 보고하였다. Jha et al13에 의한 연구에서는 녹내장이 없는 백내장 환자에서 백내장수술 후 SD-OCT로 얻은 시신경유두지표 중 시신경유두 면적(disc area), 시신경테 면적(rim area)이 증가한다고 하였고 시신경유두함몰비는 변화가 없다고 보고하였다. 이처럼 OCT 측정값에 백내장이 미치는 영향을 연구들이 많이 보고되었지만, 시신경유두에 관련된 변수,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황반부의 신경절세포-내망상층의 두께를 녹내장 환자가 포함된 군에서 종합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녹내장 환자에서 백내장이 동반되었을 때 SD-OCT로부터 얻은 시신경유두지표,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 두께 측정값에 미치는 백내장의 영향을 평가하고, 백내장 수술 전후 큰 변화 값을 보이는 경우와 연관된 인자들을 밝히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헬싱키선언(Declaration of Helsinki)을 준수하였으며,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연구윤리심의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승인을 얻어 진행되었으며(승인번호: KC23RASI0639), 환자의 연구동의를 면제받았다.
2021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서울성모병원에 내원하여 한 명의 숙련된 의사(KIJ)에게 백내장수술을 받게 된 대조군 환자와 녹내장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녹내장의 진단은 녹내장성 시야 변화와 안저 사진, 적색차단필터 안저 사진에서 상응하는 부위에서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 감소와 얇은 시신경테 폭, 시신경테 패임, 시신경유두출혈 등 시신경유두의 녹내장성 변화가 확인되는 경우로 한 명의 녹내장 전문의(KIJ)에 의해 이루어졌다. 대조군은 녹내장이 없이 백내장만 있는 환자들을 포함하였으며 표준 시야검사상 정상을 보이지만, 녹내장성 시신경 유두 변화를 보이는 녹내장 의증 환자도 대조군에 포함하였다. 폐쇄각녹내장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 망막 질환이 있는 경우, 뇌질환이 있는 환자들은 제외하였다. 백내장수술 6개월 전 최대교정시력, 안압, 백내장의 정도, 안축장, 안저 검사를 시행하여 베타영역 시신경유두 주위 위축과 시신경유두출혈 유무를 판단하였고, 험프리 시야분석기(Carl Zeiss Meditec Inc., Dublin, CA, USA)를 이용하여 표준 자동 주시검사 기법인 24-2 Swedish interactive threshold algorithm(SITA) 시야검사를 수행하였다. 빛간섭단층촬영은 SD-OCT인 Cirrus HD OCT model 4000 (Carl Zeiss Meditec, Inc.)을 이용하여 산동 후 6×6 mm 영역의 optic cube 200×200 protocol과 macular cube 200×200 protocol을 시행하였다. Optic cube protocol을 통해 시신경유두지표에 대한 시신경 유두 면적(disc area), 시신경테 면적(rim area), 평균유두함몰비(average cup/disc ratio), 수직유두함몰비(vertical cup/disc ratio), 유두함몰 용적(cup volume)이 내장된 프로그램 분석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환자의 최대교정시력은 Snellen 차트를 이용하여 평가하고, logarithm of the minimum angle of resolution (logMAR)으로 환산하였다. 백내장수술 후 3개월에서 6개월 사이에 최대교정시력, 안압, 24-2 SITA 시야검사, 산동 후 SD-OCT 검사를 통해 백내장수술 전후를 비교하였다.
녹내장성 시야 변화는 시야검사에서 glaucoma hemifield test상 outside normal limits가 나오거나 pattern standard deviation (PSD)의 p값이 5% 미만인 경우, 또는 pattern deviation plot에서 하나의 반쪽 시야(상반, 또는 하반)에서 3개 이상의 지점이 군집을 이룰 경우(이 중 하나는 p값이 1% 미만이어야 함)를 충족하며, 이러한 결과가 반복 가능한 경우, 녹내장성 시야 변화로 간주하였다.14-17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는 optic disc cube protocol에서 구하였고 수평, 수직, 원형 단면 스캔 중 분할선이 실제 경계에서 벗어나거나 분할선의 일부가 누락된 경우 분할 오류(segmentation error)가 있는 것으로 분류하였다.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지도에서 측정 오류가 난 부분은 지도 두께 오류(thickness map error)로 분류하였다(Fig 1).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의 두께는 macular cube protocol에서 측정하였고 마찬가지로 수평 스캔에서 분할 오류를 분류하였고, 황반부 지도에서 지도 두께 오류를 분류하였다(Fig 2). 각 OCT 스캔은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0에서 10까지의 신호 강도(signal strength)가 측정되었다.
백내장의 정도는 한 명의 숙련된 의사(KIJ)가 Lens Opacities Classification System III (LOCS III)18 기준에 따라 등급이 매겨졌다. 백내장수술 후 1주일 안에 안압이 22 이상 상승, 각막부종 및 임상적인 황반부 부종 등의 합병증이 발생한 환자들을 제외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연속형 자료의 경우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를, 범주형 자료는 chi-square test와 Fisher’s exact 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술 전 분할 오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와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 평균 두께의 수술 전후 변화와 연관된 인자 그리고 시신경유두지표 중에서는 녹내장 진단에 선별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평균유두함몰비에 대해서 수술 전후 변화에 연관된 인자를 검정하기 위해, 단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단변량 선형회귀분석(un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을 사용하였다. 또한, 단변량 회귀분석에서 p값이 0.2 이하인 변수와 추가로 연관성을 보일 수 있는 요인들을 고려하여 다변량 회귀분석(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을 수행하였으며, p-value<0.05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값으로 정의하였다.

결 과

총 44명 63안의 환자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 중 녹내장 환자는 43안(68.3%)이었고 대조군은 정상 9안(14.3%), 녹내장 의증 11안(17.5%)으로 총 20안(31.7%)이었다. 두 그룹의 평균 연령은 각각 69.7 ± 10.2세와 69.1 ± 5.0세로, 이 두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746). 대조군과 녹내장군의 수술 전 굴절력은 각각 0.3 ± 1.9 diopter와 -2.3±4.1 diopter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시신경 유두 주위 위축의 발생률은 녹내장 환자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으며(p=0.015), 피질 경화도는 녹내장 환자에서 더 높았다(p=0.017). 그 외에 성별, 좌우, 수술 전 시력, 당뇨병 및 고혈압 유병률, 중심각막두께, 안축장, 수술 전 안압, 시신경유두출혈의 발생률, 핵 혼탁도, 후낭하 혼탁도, 전체 혼탁도의 합, mean deviation (MD), PSD, visual field index(VFI)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Table 1).
녹내장 환자에서 시신경유두 면적(2.27 mm2 vs. 2.22 mm2, p=0.407), 시신경테 면적(0.99 mm2 vs 0.85 mm2, p=0.132), 평균유두함몰비(0.72 vs 0.77, p=0.105), 수직유두함몰비(0.72 vs 0.75, p=0.217), 유두함몰 용적(0.46 mm3 vs 0.52 mm3, p=0.244)은 수술 전과 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able 2).
백내장수술 전, 녹내장 환자에서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스캔에서 분할 오류는 20안(46.5%)이 있었으나, 수술 후에는 12안(27.9%)이 측정되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118). 녹내장 환자에서 평균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는 수술 전 59.72 ± 21.31 μm에서 수술 후 68.37 ± 11.85 μm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02), 사분면 분석에서 상측(p=0.001), 하측(p=0.014), 이측(p=0.002)두께는 수술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를 시계 방향으로 분석한 결과, 2시에서 3시 사이의 시간대 이외의 방향에서는 수술 후 유의한 두께 증가가 있었다. 대조군에서도 평균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사분면 분석에서 상측, 하측, 이측 두께는 수술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시계 방향 분석에서는 녹내장군과 다르게 2시에서 6시, 10시에서 12시 사이 방향에서는 수술 후 유의한 변화가 확인되지 않았다. 안축장 길이 26 mm 이상, 굴절력 -6.0 diopter 이상인 고도근시인 8안(12.7%)에서는 수술 전 4안(50.0%)에서 분할 오류가 있었으며, 수술 후에는 3안(37.5%)으로 고도근시가 아닌 환자에서보다 분할 오류의 비율이 높게 확인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확인되지 않았다(p>0.05) (Table 2).
백내장수술 전, 녹내장 환자에서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 지도 두께 오류는 9안(20.9%), 수술 후 5안(11.6%)이 측정되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382). 녹내장 환자에서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의 평균 두께는 64.19 ± 15.93 μm에서 수술 후 67.92 ± 11.59 μm로 측정되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p=0.175). 반면 대조군에서 하비측 두께는 수술 전 67.84 ± 18.21 μm에서 수술 후 77.74 ± 10.76 μm로, 하측 두께는 수술 전 69.78 ± 8.93 μm에서 수술 후 75.94 ± 9.91 μm로, 하이측 두께는 수술 전 69.95 ± 17.71 μm에서 수술 후 77.26 ± 10.41 μm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각각 p=0.017, 0.002, 0.037) 두 군을 합친 전체 환자에서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의 평균 두께는 65.80 ± 16.52 μm에서 수술 후 70.69 ± 11.80 μm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27) (Table 2).
녹내장 환자에서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의 신호 강도는 수술 전 2.77 ± 1.39에서 수술 후 3.37 ± 1.00으로,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의 신호 강도는 수술 전 3.81 ± 1.41에서 수술 후 4.41 ± 1.24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각각 p=0.015, 0.034) (Table 2).
수술 전 분할 오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분석한 단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녹내장 환자에서 수술 전 MD (p=0.027), 수술 전 시력(p=0.008), 전체 혼탁도의 합 (p=0.020), 수술 전 평균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p=0.015), 수술 전 신호 강도(p<0.001)가 모두 유의한 인자로 확인되었다. 단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에서 p값이 0.2 미만인 변수를 이용하여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고 유의한 인자가 확인되지 않았다(p>0.05). 대조군에서는 단변량,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유의한 인자가 확인되지 않았다(Table 3).
녹내장 환자에서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평균 두께의 수술 전후 변화와 연관된 인자들을 단변량 선형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수술 전 MD (p=0.033), 수술 전 시력(p=0.037), 전체 혼탁도의 합(p=0.011), 핵 혼탁도(p=0.023), 후낭하 혼탁도(p=0.026), 수술 전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평균 두께(p<0.001), 수술 전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 평균 두께(p<0.001), 수술 전 신호 강도(p<0.001)가 모두 유의한 인자로 확인되었다. 다변량 선형회귀분석에서는 수술 전 시력(p=0.037), 전체 혼탁도의 합(p=0.012), 수술 전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평균 두께(p<0.001)가 유의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군에서는 단변량,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수술 전 신호 강도가 유의한 인자로 확인되었다(각각 p=0.003, 0.028) (Table 4).
녹내장 환자에서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 평균 두께의 수술 전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단변량 선형 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수술 전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평균 두께(p=0.003), 수술 전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 평균 두께(p<0.001), 수술 전 신호 강도(p=0.009)가 유의한 인자로 나타났으며, 다변량 선형회귀분석에서 수술 전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 평균 두께(p=0.008)가 유의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5).
녹내장 환자에서 평균유두함몰비의 수술 전후 변화에 연관된 인자들을 단변량 선형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고혈압(p=0.045), 수술 전 MD (p=0.011), 수술 전 시력(p=0.010), 핵 혼탁도(p=0.003), 수술 전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평균 두께(p<0.001), 수술 전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 평균 두께(p<0.001), 수술 전 신호 강도(p<0.001)가 유의한 인자로 나타났으며 다변량 선형회귀분석에서 수술 전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평균 두께(p=0.032), 수술 전 신호 강도(p=0.036)가 유의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6).

고 찰

녹내장 환자를 경과 관찰할 때 OCT는 진행 여부를 평가할 때 유용하다. 하지만 고령에서는 백내장이 진행하면서 OCT 측정값들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녹내장 진행을 판단하는 데 주요한 OCT 인자들에 백내장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알아내기 위해 녹내장 환자에서 백내장수술 전후 OCT 수치를 비교하였다. 백내장수술 후 시신경유두지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가 백내장수술 후 증가하였다. 즉, 백내장이 있으면 OCT 검사 결과값 중에 두께와 관련된 수치가 얇게 측정되고 시신경유두지표는 백내장에 의한 영향을 덜 받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녹내장 환자에서의 시신경유두지표인 시신경유두 면적, 시신경테 면적, 평균유두함몰비, 수직유두함몰비, 유두함몰 용적 모두 백내장수술 전후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Jha et al13의 연구에서 Cirrus SD-OCT model 400을 사용하여 녹내장이 없는 정상인에서 백내장수술 후 시신경유두지표 중 시신경유두 면적, 시신경테 면적이 증가한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수술 후 신호 강도의 향상으로 인한 이미지 해상도의 향상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평균유두함몰비, 수직유두함몰비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이는 시신경유두 면적과 시신경테 면적의 변화로 상쇄되어 함몰비에는 변화가 없었다고 설명하였다. 동일한 OCT model을 사용하지 않아 직접적인 비교는 어려우나, 본 연구에서는 시신경유두 면적, 시신경테 면적 변화가 없었던 점에 대해서는 추후에 더 많은 사례로 이루어진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와 이전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적으로 녹내장의 진단 및 추적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시신경유두지표보다는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와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 두께의 활용도가 더 크지만 시신경유두지표가 백내장수술 전후 변화가 없는 점이 백내장이 있는 환자에서 더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백내장수술 후 녹내장 환자의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평균 두께는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증가는 비측 방향과 2시에서 3시 방향을 제외한 방향에서 관찰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평균 두께에 관한 이전 연구들과 비슷한 결과를 보여주었고 조금 더 자세히 각 시계 방향에 따른 두께에 관해서는 약간씩 차이를 보이는 것 같다. Bambo et al19 의 연구에서 백내장수술 후에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평균 두께가 SD-OCT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비측 방향과 하측 방향 분석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Kim et al9의 연구에서 백내장수술 후 정상 그룹의 이미지 해상도와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가 SD-OCT에서 증가함을 보였으며, 이측 방향과 시계 방향 분석에서 4시에서 6시 방향을 제외한 모든 방향에서 유의미한 증가가 확인되었다. Choi and Seol12의 연구에서는 백내장수술 후 이미지 해상도와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의 시계 방향 분석에서 녹내장 그룹에서는 1시에서 4시 방향을 제외한 모든 방향에서 두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정상 그룹에서는 1시 방향을 제외한 방향에서의 두께가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Choi and Seol12의 연구에서는 1시 방향에서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가 평균 두께보다 더 두껍고,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가 얇을수록 수술 후 증가 폭이 큰 점을 언급하며, 이러한 결과는 1시 방향에서 백내장이 심하지 않아서 발생한 것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 백내장의 정도가 모든 부분에서 동일하지 않으며, 만약 백내장이 녹내장 환자군의 1시에서 4시 사이 및 정상군의 1시에서 다른 부분보다 심하지 않다면 해당 부분의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증가율이 낮았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백내장수술 전후에 두께에 변화가 없었던 부분은 백내장이 두께 측정에 영향을 주지 않았음을 나타내며, 추가 연구를 통해 일관된 방향에서 백내장수술 후 두께의 변화가 없는 방향을 확인한다면, 백내장이 있는 환자에서 OCT를 이용한 녹내장 환자의 진단 및 진행 상황을 평가할 때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 전체 환자에서의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 평균 두께가 백내장수술 후 3개월에서 6개월 사이의 검사에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백내장으로 인해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 두께가 얇게 측정된 것으로 보이지만 녹내장군과 대조군 각각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Sari et al20 연구에서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 두께가 백내장수술 후 1주일과 1개월에 염증으로 인해 증가하였지만, 3개월 후에는 염증이 사라지면서 원래 두께로 회복되었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Nakatani et al11 연구에서는 백내장수술 후 1주일 뒤, Bambo et al19 연구에서 백내장 수술 후 1달 뒤, Choi and Seol12 연구에서는 백내장수술 후 3개월 이내 검사에서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 두께가 증가하였으며, 이는 백내장수술 후 이미지 해상도의 향상으로 인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OCT 두께 분석에서의 분할 오류는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과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 두께의 잘못된 분석과 공백 영역이 생기게 되며, 분할 오류를 확인하지 않으면 이러한 오류가 오진을 유발하거나 추후 검사와 비교 시에 방해 요인이 될 수 있다. 근시가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에서 분할 오류를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으나21 본 연구에서는 고도근시인 환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에서 분할 오류 발생과 연관된 인자는 확인되지 않았다. Nakatani et al11의 연구에서는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 검사에서 백내장수술 전 신호 강도 지수가 낮을수록, 후낭하 혼탁이 많을수록 분할 오류 발생이 증가한다고 보고하였고,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검사에 분할 오류가 발생한 눈의 수가 적어 위험 요인을 평가할 수 없었다. 임상에서는 낮은 신호 강도의 데이터를 분석할 때 분할 오류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Nakatani et al11의 연구에서는 신호 강도 지수가 30 미만인 데이터는 연구에 포함되지 않았으며, Choi and Seol12의 연구에서는 이미지 해상도가 40 미만인 데이터는 제외 기준이었다. 각 OCT 기계는 신호 강도의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다른 OCT 결과와 직접적으로 비교하기 어렵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Cirrus OCT는 최대 10점의 신호 강도를 가지나 노후화된 기계로, 본 연구에서는 수술 후에도 신호 강도가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의 신호 강도는 대조군에서 3.75 ± 0.72, 녹내장군에서 3.37 ± 1.00,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의 신호 강도는 대조군에서 4.40 ± 0.99, 녹내장군에서 4.41 ± 1.24로 높지 않았다. 특히 백내장이 있는 환자에서 높은 신호 강도의 데이터가 부족하여 별도의 제외 기준을 설정하지 않았다. 대조군과 비교하여, 녹내장군에서는 수술 전에 비해 신호 강도가 수술 후 높아졌으나 녹내장군에서 핵 혼탁도가 더 높은 점으로 보아 핵 혼탁이 신호 강도에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낮은 신호 강도는 촬영 시마다 결과값에 변동성이 클 수 있으며 시신경, 망막층의 두께를 분석에서 분할 오류의 발생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여 낮은 신호 강도에 의해 데이터의 값이 분석과 결과 해석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음에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수직, 수평 스캔에서 분할 오류를 분류하였지만 아직까지 OCT 분할 오류의 표준화된 정의가 없으며, 분할 오류를 식별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존재한다.11,22-24 향후 표준화된 방법을 사용하여 분할 오류를 정의하고 식별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술 전 녹내장 환자에서의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가 얇을수록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다변량 선형회귀분석에서 수술 전 낮은 시력, 전체 혼탁도의 합이 클수록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큰 변화와 연관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 대조군과 녹내장 환자에서의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 두께 변화는 수술 전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 평균 두께와 음의 연관성을 나타냈다. Nakatani et al11 연구에서는 수술 전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와 수술 후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변화와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그 외 다른 연구들에서는 본 연구와 비슷한 결과들을 보여주었다. Choi and Seol12의 연구에서는 수술 전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와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 두께가 수술 후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과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 두께 변화와 각각 음의 연관성을 나타냈다. Roh et al25의 연구에서도 수술 전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 두께는 수술 후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 두께 변화와 음의 연관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또한 평균유두함몰비의 변화는 수술 전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와 음의 연관성을 보였다. 이는 백내장에 의해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이 얇게 측정될 경우에는 평균유두함몰비도 작게 측정되는 경향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분할 오류가 있는 결과도 분석에 포함시켰지만, 이로 인해 데이터의 잠재적인 오류가 반영되어 결과에 편향을 초래할 수 있는 한계점이 있다. Nakatani et al11의 연구에서는 분할 오류가 있는 데이터를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및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 결과 분석에서 사용하지 않았다. 하지만, 실제 임상 환경에서는 분할 오류를 확인하지 않고 자동으로 분석되는 데이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본 연구가 조금 더 현실적인 임상 환경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LOCS III가 백내장 모양과 밀도를 평가하는 국제 표준이나 LOCS는 주관적인 분류 시스템이 남아 있기 때문에 다양한 연구 사이의 가변성은 LOCS를 사용한 백내장 등급 설정의 차이로 인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한 명의 전문의에 의해 평가된 환자만을 대상으로 구성하였다. 또 다른 한계로,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은 환자 수를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므로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장기적인 대규모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에서 백내장수술 전후의 시간 간격이 다른 연구와 비교하여 더 길었기 때문에, 녹내장의 진행이 결과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는 한계점도 고려해야 한다. 다른 한계점으로는, 녹내장군과 비교한 대조군에는 정상인뿐 아니라 녹내장성 시신경유두 변화를 보이는 녹내장 의증 환자도 포함되어 있어 해석이 모호해질 수 있다. 이는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백내장으로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과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 두께가 얇게 측정되나 시신경유두지표들은 백내장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으며, 백내장과 동반된 녹내장 환자에서 더 효과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분할 오류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며, 향후 연구에서 정확한 진단을 위한 표준화된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NOTES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to disclose.

Figure 1.
Examples of segmentation errors and thickness map errors in pRNFL measurements. (A) Preoperative RNFL thickness map with thickness map error (black arrow). (B) Postoperative RNFL thickness map showing disappeared thickness map error. (C) Preoperative horizontal tomogram. Red and green line indicate the RNFL layer boundaries and white line indicates manually corrected segmentation lines. (D) Postoperative horizontal tomogram. (E) Preoperative vertical tomogram with segmentation error (white arrow). (F) Postoperative vertical tomogram showing disappeared segmentation error. (G) Preoperative RNFL circular tomogram. (H) Postoperative RNFL circular tomogram. pRNFL = peripapillary retinal nerve fiber layer.
jkos-2024-65-7-442f1.jpg
Figure 2.
Examples of segmentation errors and thickness map errors in mGC-IPL measurements. (A) Preoperative mGC-IPL thickness map with thickness map error (black arrow). (B) Postoperative mGC-IPL thickness map with disappeared thickness map error. (C) Preoperative horizontal B-scan with segmentation error (white arrow). Purple and yellow line indicate the inner retina boundaries of the RNFL layer and two white lines indicate manually corrected segmentation lines. (D) Postoperative horizontal B-scan with disappeared segmentation error. mGC-IPL = macular ganglion cell-inner plexiform layer; RNFL = retinal nerve fiber layer.
jkos-2024-65-7-442f2.jpg
Table 1.
Demographics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Normal control group Glaucoma group p-value
Number of subjects 15 29
Number of eyes 20 43
Age (years) 69.1 ± 5.0 (61-84) 69.7 ± 10.2 (46-84) 0.746*
Sex, male/female 9/11 18/25 0.815
Laterality, right/left 9/11 23/20 0.530
Preoperative VA (logMAR) 0.35 ± 0.40 0.44 ± 0.33 0.343*
Diabetes mellitus 2 (10.0) 9 (20.9) 0.478
Systemic hypertension 10 (50.0) 19 (44.2) 0.666
Central corneal thickness (µm) 542.2 ± 39.3 531.3 ± 46.0 0.363*
Spherical equivalent (diopters) 0.3 ± 1.9 -2.3 ± 4.1 0.001*,§
Axial length (mm) 23.6 ± 0.6 24.0 ± 1.4 0.132*
Preoperative IOP (mmHg) 13.6 ± 3.1 14.8 ± 5.6 0.366*
Presence of disc hemorrhage 0 (0.0) 3 (7.0) 0.545
Parapapillary atrophy 6 (30.0) 27 (62.8) 0.015,§
Nucleus opacity score 2.5 ± 0.6 3.1 ± 1.1 0.017*,§
Cortical opacity score 2.7 ± 1.2 2.1 ± 1.6 0.117*
Posterior subcapsular opacity score 0.6 ± 1.2 0.9 ± 1.5 0.483*
Sum of LOCS scores 5.8 ± 1.7 5.7 ± 1.8 0.938*
Number of glaucoma eyedrops 0.5 ± 0.5 1.4 ± 1.1 <0.001*,§
Average RNFL thickness (µm) 80.9 ± 12.0 59.7 ± 21.3 <0.001*,§
MD (dB) -5.04 ± 6.12 -8.23 ± 6.75 0.115*
PSD (dB) 4.57 ± 3.96 5.30 ± 4.04 0.552*
VFI (%) 86.27 ± 20.10 82.00 ± 20.72 0.496*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range) or number (%) unless otherwise indicated.

VA = visual acuity; IOP = intraocular pressure; LOCS = Lens Opacities Classification System; RNFL = retinal nerve fiber layer; MD = mean deviation; PSD = pattern standard deviation; VFI = visual field index.

* Independent t-test;

χ2 test;

Fisher’s exact test;

§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p < 0.05).

Table 2.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ONH parameters, pRNFL thickness, mGC-IPL thickness measurements
Cirrus OCT Control group (n = 20)
Glaucoma group (n = 43)
Preoperative Postoperative p-value Preoperative Postoperative p-value
ONH parameters
 Disc area (mm2) 2.04 ± 0.43 2.03 ± 0.43 0.959* 2.27 ± 0.47 2.22 ± 0.47 0.407*
 Rim area (mm2) 1.18 ± 0.20 1.18 ± 0.21 0.750* 0.99 ± 0.51 0.85 ± 0.26 0.132*
 Average CDR 0.60 ± 0.17 0.59 ± 0.19 0.371* 0.72 ± 0.18 0.77 ± 0.09 0.105*
 Vertical CDR 0.58 ± 0.16 0.58 ± 0.17 0.897* 0.72 ± 0.17 0.75 ± 0.11 0.217*
 Cup volume (mm3) 0.27 ± 0.18 0.26 ± 0.18 0.850* 0.46 ± 0.32 0.52 ± 0.30 0.244*
pRNFL parameters
 Signal strength 4.00 ± 1.30 3.75 ± 0.72 0.480* 2.77 ± 1.39 3.37 ± 1.00 0.015*,§
 Segmentation error 3 (15.0) 0 (0.0) 0.231 20 (46.5) 12 (27.9) 0.118
 Thickness map error 3 (15.0) 3 (15.0) 1.000 18 (41.9) 19 (44.2) 1.000
 Average (µm) 80.90 ± 11.98 85.30 ± 12.76 0.001*,§ 59.72 ± 21.31 68.37 ± 11.85 0.002*,§
 Superior (µm) 99.55 ± 21.08 104.95 ± 21.91 0.011*,§ 73.14 ± 29.34 83.40 ± 20.23 0.001*,§
 Nasal (µm) 60.70 ± 7.71 62.70 ± 8.60 0.105* 51.21 ± 20.69 55.74 ± 9.63 0.134*
 Inferior (µm) 104.50 ± 20.64 110.40 ± 22.20 0.017*,§ 63.53 ± 31.65 73.49 ± 23.08 0.014*,§
 Temporal (µm) 58.75 ± 9.92 63.25 ± 7.29 <0.001*,§ 51.02 ± 17.96 61.00 ± 15.46 0.002*,§
 1 o’clock (µm) 89.40 ± 19.39 96.55 ± 21.46 0.023*,§ 67.91 ± 27.74 79.51 ± 19.61 0.002*,§
 2 o’clock (µm) 70.80 ± 12.48 72.95 ± 15.39 0.345* 60.02 ± 28.38 63.98 ± 17.18 0.316
 3 o’clock, nasal (µm) 53.35 ± 6.44 55.60 ± 5.53 0.056* 46.63 ± 19.38 49.37 ± 10.00 0.399*
 4 o’clock (µm) 57.80 ± 9.82 59.65 ± 9.84 0.150* 47.21 ± 20.20 53.72 ± 12.75 0.031*,§
 5 o’clock (µm) 83.80 ± 21.60 90.25 ± 21.59 0.130* 55.65 ± 28.43 65.05 ± 20.00 0.008*,§
 6 o’clock, inferior (µm) 117.3 ± 27.91 120.80 ± 29.90 0.116* 65.86 ± 36.02 75.30 ± 29.15 0.020*,§
 7 o’clock (µm) 112.4 ± 29.37 120.20 ± 29.13 0.004*,§ 69.19 ± 37.54 80.42 ± 30.85 0.029*,§
 8 o’clock (µm) 59.80 ± 11.63 65.00 ± 9.60 <0.001*,§ 50.56 ± 20.81 60.16 ± 15.73 0.004*,§
 9 o’clock, temporal (µm) 49.15 ± 7.64 54.20 ± 5.05 <0.001*,§ 46.05 ± 20.02 56.49 ± 21.25 0.010*,§
 10 o’clock (µm) 67.50 ± 15.24 70.65 ± 14.25 0.099* 56.60 ± 21.58 66.23 ± 17.32 0.002*,§
 11 o’clock (µm) 105.60 ± 24.65 107.85 ± 22.46 0.491* 77.30 ± 33.99 86.95 ± 27.75 0.009*,§
 12 o’clock, superior (µm) 104.20 ± 31.01 110.50 ± 31.90 0.104* 74.16 ± 32.30 83.70 ± 24.77 0.005*,§
mGC-IPL parameters
 Signal strength 4.60 ± 1.14 4.40 ± 0.99 0.569* 3.81 ± 1.41 4.41 ± 1.24 0.034*,§
 Segmentation error 3 (15.0) 1 (5.0) 0.605 9 (20.9) 5 (11.6) 0.382
 Thickness map error 7 (35.0) 1 (5.0) 0.044,§ 13 (30.2) 10 (23.3) 0.627
 Average (µm) 69.95 ± 16.98 76.89 ± 10.48 0.057* 64.19 ± 15.93 67.92 ± 11.59 0.175*
 Minimum (µm) 61.32 ± 19.59 69.05 ± 15.92 0.078* 50.78 ± 20.25 56.81 ± 16.78 0.111*
 Superior (µm) 71.16 ± 17.80 75.00 ± 14.29 0.370* 68.42 ± 12.58 69.14 ± 13.54 0.783*
 Superonasal (µm) 72.47 ± 18.59 78.79 ± 10.88 0.091* 67.89 ± 15.03 72.06 ± 13.96 0.210*
 Inferonasal (µm) 67.84 ± 18.21 77.74 ± 10.76 0.017*,§ 64.84 ± 17.18 68.08 ± 14.16 0.276*
 Inferior (µm) 69.78 ± 8.93 75.94 ± 9.91 0.002*,§ 63.69 ± 14.41 63.20 ± 15.61 0.850*
 Inferotemporal (µm) 69.95 ± 17.71 77.26 ± 10.41 0.037*,§ 62.75 ± 14.79 64.39 ± 14.49 0.383*
 Superotemporal (µm) 71.63 ± 14.86 75.89 ± 13.25 0.192* 68.25 ± 12.05 71.28 ± 10.52 0.097*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 or mean ± standard deviation.

ONH = optic nerve head; pRNFL = peripapillary retinal nerve fiber layer; mGC-IPL = macular ganglion cell-inner plexiform layer; OCT =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CDR = cup/disc ratio.

* Paired t-test;

Fisher’s exact test;

χ2 test;

§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p < 0.05).

Table 3.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reoperative segmentation error of pRNFL analysis
Parameter Control group (n = 20)
Glaucoma group (n = 43)
Univariate
Multivariate
Univariate
Multivariate
β (95% Cl) p-value β (95% Cl) p-value β (95% Cl) p-value β (95% Cl) p-value
Age 1.074 (0.855 to 1.349) 0.539 1.015 (0.956 to 1.078) 0.619
Sex (female) 1.778 (0.134 to 23.520) 0.662 0.533 (0.156 to 1.818) 0.315
DM 0 0.999 0.116 (0.046 to 1.404) 0.116 0.034 (0.000 to 12.305) 0.261
HTN 6 × 108 0.999 1.064 (0.318 to 3.555) 0.920
Preoperative MD 0.900 (0.733 to 1.105) 0.315 0.881 (0.787 to 0.986) 0.027* 1.180 (0.452 to 3.084) 0.735
Preoperative PSD 1.274(0.912 to 1.780) 0.155 1 × 105 0.998 1.128 (0.959 to 1.328) 0.146 1.185 (0.773 to 1.817) 0.436
Preoperative VFI 0.963 (0.906 to 1.023) 0.220 0.969 (0.935 to 1.004) 0.082 1.001 (0.761 to 1.316) 0.994
Preoperative VA 0.252 (0.002 to 41.492) 0.596 50.848 (2.793 to 925.616) 0.008* 264.619 (0.005 to 1 × 107) 0.317
Preoperative IOP 1.054 (0.698 to 1.593) 0.801 1.008 (0.904 to 1.124) 0.880
Axial length 0.290 (0.034 to 2.477) 0.258 1.370(0.859 to 2.184) 0.186 1.235 (0.492 to 3.097) 0.653
Sum of LOCS scores 0.255 (0.040 to 1.600) 0.145 0 0.999 1.717 (1.087 to 2.711) 0.020* 1.093 (0.411 to 2.909) 0.859
Nucleus opacity score 0.920(0.121 to 6.976) 0.936 1.240 (0.700 to 2.198) 0.461
Cortical opacity score 0.389 (0.128 to 1.176) 0.094 0 0.998 1.060 (0.726 to 1.547) 0.763
Posterior subcapsular opacity score 1.080 (0.382 to 3.051) 0.885 1.495 (0.949 to 2.355) 0.083 1.222 (0.527 to 2.833) 0.640
Preoperative mean RNFL thickness 0.995 (0.898 to 1.103) 0.927 0.946 (0.904 to 0.989) 0.015* 0.974 (0.852 to 1.112) 0.693
Preoperative mean mGC-IPL thickness 0.935 (0.928 to 1.085) 0.935 0.955 (0.905 to 1.008) 0.093 0.993 (0.900 to 1.095) 0.886
Preoperative signal strength 0.601 (0.212 to 1.706) 0.339 0.209 (0.085 to 0.515) <0.001* 0.380 (0.068 to 2.112) 0.269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includes variables with p-values less than 0.2 from the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pRNFL = peripapillary retinal nerve fiber layer; Cl = confidence interval; DM = diabetes mellitus; HTN = hypertension; MD = mean deviation; PSD = pattern standard deviation; VFI = visual field index; VA = visual acuity; IOP = intraocular pressure; LOCS = Lens Opacities Classification System; mGC-IPL = macular ganglion cell-inner plexiform layer.

*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p < 0.05).

Table 4.
Factors associated with changes in average pRNFL thickness
Parameter Control group (n = 20)
Glaucoma group (n = 43)
Univariate
Multivariate
Univariate
Multivariate
β (95% Cl) p-value β (95% Cl) p-value β (95% Cl) p-value β (95% Cl) p-value
Age 0.005 (-0.490 to 0.501) 0.982 -0.135 (-0.448 to 0.177) 0.387
Sex (female) -0.232 (-0.713 to 0.250) 0.326 -0.088 (-0.402 to 0.226) 0.575
DM -0.364 (-0.825 to 0.097) 0.115 -0.417 (-0.879 to 0.045) 0.072 0.143 (-0.170 to 0.455) 0.362
HTN 0 1.000 0.159 (-0.153 to 0.470) 0.310
Preoperative MD -0.298 (-0.870 to 0.274) 0.280 -0.337 (-0.646 to -0.028) 0.033* -0.132 (-1.008 to 0.745) 0.759
Preoperative PSD 0.394 (-0.157 to 0.945) 0.146 0.189 (-0.280 to 0.658) 0.395 0.164 (-0.160 to 0.488) 0.312
Preoperative VFI -0.309 (-0.879 to 0.260) 0.262 -0.229 (-0.549 to 0.090) 0.154 0.343 (-0.466 to 1.151) 0.391
Preoperative VA -0.041 (-0.533 to 0.451) 0.863 0.319 (0.020 to 0.618) 0.037* -0.267 (-0.517 to -0.017) 0.037*
Preoperative IOP -0.435 (-0.881 to 0.011) 0.055 0.071 (-0.244 to 0.386) 0.651
Axial length -0.383 (-0.841 to 0.074) 0.095 0.189 (-0.120 to 0.499) 0.224
Sum of LOGS scores -0.025 (-0.536 to 0.487) 0.920 0.398 (0.097 to 0.699) 0.011* 0.309 (0.074 to 0.544) 0.012*
Nucleus opacity score -0.037 (-0.548 to 0.475) 0.881 0.351 (0.052 to 0.650) 0.023* 0.065 (-0.176 to 0.306) 0.582
Cortical opacity score -0.143 (-0.649 to 0.364) 0.560 0.002 (-0.318 to 0.321) 0.992
Posterior subcapsular opacity score 0.127 (-0.380 to 0.635) 0.604 0.343 (0.043 to 0.644) 0.026* 0.071 (-0.161 to 0.303) 0.533
Preoperative mean RNFL thickness -0.053 (-0.548 to 0.441) 0.824 -0.831 (-1.007 to -0.656) <0.001* -0.762 (-1.053 to -0.471) <0.001*
Preoperative mean mGC-IPL thickness -0.032 (-0.543 to 0.480) 0.897 -0.601 (-0.867 to -0.335) <0.001* 0.074 (-0.193 to 0.340) 0.575
Preoperative signal strength -0.624 (-1.011 to -0.237) 0.003* -0.516 (-0.967 to -0.066) 0.028* -0.628 (-0.874 to -0.383) <0.001* -0.219 (-0.509 to 0.071) 0.133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includes variables with p-values less than 0.2 from the un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Backward elimination was performed, reaching the 3rd step in the analysis in control group.

pRNFL = peripapillary retinal nerve fiber layer; Cl = confidence interval; DM = diabetes mellitus; HTN = hypertension; MD = mean deviation; PSD = pattern standard deviation; VFI = visual field index; VA = visual acuity; IOP = intraocular pressure; LOCS = Lens Opacities Classification System; mGC-IPL = macular ganglion cell-inner plexiform layer.

*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p < 0.05).

Table 5.
Factors associated with changes in average mGC-IPL thickness
Parameter Control group (n = 20)
Glaucoma group (n = 43)
Univariate
Multivariate
Univariate
Multivariate
β (95% Cl) p-value β (95% Cl) p-value β (95% Cl) p-value β (95% Cl) p-value
Age 0.393 (-0.063 to 0.848) 0.087 0.193 (-0.269 to 0.654) 0.386 -0.057 (-0.385 to 0.270) 0.725
Sex (female) 0.243 (-0.237 to 0.724) 0.301 0.203 (-0.119 to 0.524) 0.209
DM -0.157 (-0.646 to 0.332) 0.509 0.143 (-0.182 to 0.468) 0.379
HTN 0.034 (-0.460 to 0.529) 0.885 0.234 (-0.086 to 0.553) 0.147 -0.039 (-0.368 to 0.289) 0.808
Preoperative MD 0.006 (-0.593 to 0.605) 0.984 0.063 (-0.280 to 0.405) 0.712
Preoperative PSD -0.137 (-0.730 to 0.457) 0.627 -0.065 (-0.408 to 0.277) 0.701
Preoperative VFI 0.106 (-0.490 to 0.702) 0.708 0.201 (-0.136 to 0.537) 0.234
Preoperative VA -0.034 (-0.529 to 0.461) 0.886 0.160 (-0.163 to 0.483) 0.323
Preoperative IOP -0.205 (-0.690 to 0.279) 0.385 0.147 (-0.178 to 0.471) 0.367
Axial length -0.413 (-0.864 to 0.038) 0.070 -0.336 (-0.657 to -0.015) 0.041* 0.086 (-0.241 to 0.413) 0.599
Sum of LOGS scores 0.028 (-0.484 to 0.539) 0.910 0.203 (-0.133 to 0.539) 0.229
Nucleus opacity score 0.241 (-0.255 to 0.738) 0.319 0.236 (-0.088 to 0.560) 0.148 0.119 (-0.201 to 0.440) 0.454
Cortical opacity score -0.049 (-0.560 to 0.462) 0.842 0.109 (-0.223 to 0.440) 0.511
Posterior subcapsular opacity score -0.043 (-0.554 to 0.468) 0.862 0.127 (-0.204 to 0.457) 0.442
Preoperative mean RNFL thickness 0.190 (-0.296 to 0.676) 0.422 -0.453 (-0.746 to -0.160) 0.003* 0.238 (-0.189 to 0.665) 0.265
Preoperative mean mGC-IPL thickness -0.791 (-1.104 to -0.479) <0.001* -0.714 (-1.184 to -0.245) 0.006* -0.585 (-0.855 to -0.315) <0.001* -0.717 (-1.231 to -0.203) 0.008*
Preoperative signal strength -0.414 (-0.865 to 0.036) 0.069 0.133 (-0.206 to 0.472) 0.414 -0.415 (-0.718 to -0.112) 0.009* -0.066 (-0.461 to 0.330) 0.738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includes variables with p-values less than 0.2 from the un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mGC-IPL = macular ganglion cell-inner plexiform layer; Cl = confidence interval; DM = diabetes mellitus; HTN = hypertension; MD = mean deviation; PSD = pattern standard deviation; VFI = visual field index; VA = visual acuity; IOP = intraocular pressure; LOCS = Lens Opacities Classification System; RNFL = retinal nerve fiber layer.

*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p < 0.05).

Table 6.
Factors associated with changes in average cup to disc ratio
Parameter Control group (n = 20)
Glaucoma group (n = 43)
Univariate
Multivariate
Univariate
Multivariate
β (95% Cl) p-value β (95% Cl) p-value β (95% Cl) p-value β (95% Cl) p-value
Age 0.202 (-0.283 to 0.687) 0.392 -0.011 (-0.326 to 0.305) 0.947
Sex (female) -0.110 (-0.602 to 0.383) 0.645 -0.208 (-0.516 to 0.101) 0.181 -0.136 (-0.435 to 0.162) 0.357
DM 0.204 (-0.281 to 0.688) 0.389 0.240 (-0.066 to 0.547) 0.121 0.181 (-0.144 to 0.505) 0.262
HTN -0.050 (-0.545 to 0.445) 0.834 0.307 (0.007 to 0.607) 0.045* 0.200 (-0.098 to 0.498) 0.180
Preoperative MD -0.187 (-0.775 to 0.402) 0.505 -0.399 (-0.700 to -0.098) 0.011* 0.602 (-0.810 to 2.014) 0.389
Preoperative PSD 0.186 (-0.403 to 0.775) 0.507 0.246 (-0.072 to 0.564) 0.126 0.241 (-0.220 to 0.701) 0.293
Preoperative VFI -0.167 (-0.757 to 0.424) 0.553 -0.299 (-0.612 to 0.015) 0.061 -0.337 (-1.581 to 0.906) 0.582
Preoperative VA 0.235 (-0.246 to 0.716) 0.319 0.390 (0.100 to 0.681) 0.010*
Preoperative IOP 0.359 (-0.103 to 0.821) 0.120 0.326 (-0.130 - 0.848) 0.147 0.046 (-0.270 to 0.361) 0.772
Axial length 0.346 (-0.118 to 0.811) 0.135 0.312 (-0.141 - 0.765) 0.164 -0.039 (-0.354 to 0.277) 0.806
Sum of LOCS scores 0.226 (-0.272 to 0.725) 0.352 0.162 (-0.162 to 0.486) 0.318
Nucleus opacity score 0.197 (-0.305 to 0.699) 0.419 0.442 (0.155 to 0.728) 0.003*
Cortical opacity score -0.016 (-0.527 to 0.496) 0.949 -0.039 (-0.358 to 0.281) 0.809
Posterior subcapsular opacity score 0.229 (-0.270 to 0.727) 0.347 0.106 (-0.211 to 0.424) 0.502
Preoperative mean RNFL thickness -0.178 (-0.665 to 0.310) 0.454 -0.752 (-0.960 to -0.544) <0.001* -0.381 (-0.762 to 0.000) 0.032*
Preoperative mean mGC-IPL thickness 0.038 (-0.473 to 0.550) 0.876 -0.574 (-0.847 to -0.301) <0.001*
Preoperative signal strength 0.079 (-0.421 to 0.606) 0.740 -0.606 (-0.857 to -0.355) <0.001* -0.410 (-0.791 to -0.030) 0.036*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includes variables with p-values less than 0.2 from the un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Backward elimination was performed, reaching the 4th step in the analysis in glaucoma group.

Cl = confidence interval; DM = diabetes mellitus; HTN = hypertension; MD = mean deviation; PSD = pattern standard deviation; VFI = visual field index; VA = visual acuity; IOP = intraocular pressure; LOCS = Lens Opacities Classification System; RNFL = retinal nerve fiber layer; mGC-IPL = macular ganglion cell-inner plexiform layer.

*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p < 0.05).

REFERENCES

1) Huang D, Swanson EA, Lin CP, et al.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cience 1991;254:1178-81.
crossref pmid pmc
2) Hee MR, Izatt JA, Swanson EA, et al.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f the human retina. Arch Ophthalmol 1995;113:325-32.
crossref pmid
3) Schuman JS, Hee MR, Puliafito CA, et al. Quantification of nerve fiber layer thickness in normal and glaucomatous eyes us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 pilot study. Arch Ophthalmol 1995;113:586-96.
crossref pmid
4) Stein DM, Wollstein G, Ishikawa H, et al. Effect of corneal drying o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phthalmology 2006;113:985-91.
crossref pmid pmc
5) Savini G, Zanini M, Barboni P. Influence of pupil size and cataract on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measurements by Stratus OCT. J Glaucoma 2006;15:336-40.
crossref pmid
6) Smith M, Frost A, Graham CM, Shaw S. Effect of pupillary dilatation on glaucoma assessments us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Br J Ophthalmol 2007;91:1686-90.
crossref pmid pmc
7) El-Ashry M, Appaswamy S, Deokule S, Pagliarini S. The effect of phacoemulsification cataract surgery on the measurement of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us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Curr Eye Res 2006;31:409-13.
crossref pmid
8) van Velthoven MEJ, van der Linden MH, de Smet MD, et al. Influence of cataract o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mage quality and retinal thickness. Br J Ophthalmol 2006;90:1259-62.
crossref pmid pmc
9) Kim NR, Lee H, Lee ES, et al. Influence of cataract on time domain and spectral 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retinal nerve fiber layer measurements. J Glaucoma 2012;21:116-22.
crossref pmid
10) Mwanza JC, Bhorade AM, Sekhon N, et al. Effect of cataract and its removal on signal strength and peripapillary retinal nerve fiber laye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measurements. J Glaucoma 2011;20:37-43.
crossref pmid
11) Nakatani Y, Higashide T, Ohkubo S, et al. Effect of cataract and its removal on ganglion cell complex thickness and peripapillary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measurements by fourier-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J Glaucoma 2013;22:447-55.
crossref pmid
12) Choi YJ, Seol BR. Effects of cataract on retinal nerve fiber layer and ganglion cell-inner plexiform layer thickness on swept sourc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Korean J Ophthalmol 2023;37:12-22.
crossref pmid pmc pdf
13) Jha B, Sharma R, Vanathi M, et al. Effect of phacoemulsification on measurement of retinal nerve fiber layer and optic nerve head parameters using spectral-domain-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man J Ophthalmol 2017;10:91-5.
crossref pmid pmc
14) Asman P, Heijl A. Evaluation of methods for automated Hemifield analysis in perimetry. Arch Ophthalmol 1992;110:820-6.
crossref pmid
15) Katz J, Quigley HA, Sommer A. Detection of incident field loss using the glaucoma hemifield test. Ophthalmology 1996;103:657-63.
crossref pmid
16) Katz J, Sommer A, Gaasterland DE, Anderson DR. Comparison of analytic algorithms for detecting glaucomatous visual field loss. Arch Ophthalmol 1991;109:1684-9.
crossref pmid
17) Schulzer M. Errors in the diagnosis of visual field progression in normal-tension glaucoma. Ophthalmology 1994 101:1589-94. discussion 1595.
pmid
18) Chylack LT Jr, Wolfe JK, Singer DM, et al. The lens opacities classification system III. The longitudinal study of cataract study group. Arch Ophthalmol 1993;111:831-6.
crossref pmid
19) Bambo MP, Garcia-Martin E, Otin S, et al. Influence of cataract surgery on repeatability and measurements of spectral 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Br J Ophthalmol 2014;98:52-8.
crossref pmid
20) Sari ES, Ermis SS, Yazici A, et al. The effect of intracameral anesthesia on macular thickness and ganglion cell-inner plexiform layer thickness after uneventful phacoemulsification surgery: prospective a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14;252:433-9.
crossref pmid pdf
21) Suwan Y, Rettig S, Park SC, et al. Effects of circumpapillary retinal nerve fiber layer segmentation error correction on glaucoma diagnosis in myopic eyes. J Glaucoma 2018;27:971-5.
crossref pmid
22) Ray R, Stinnett SS, Jaffe GJ. Evaluation of image artifact produced by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f retinal pathology. Am J Ophthalmol 2005;139:18-29.
crossref pmid
23) Modjtahedi S, Chiou C, Modjtahedi B, et al. Comparison of macular thickness measurement and segmentation error rate between stratus and fourier-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phthalmic Surg Lasers Imaging 2010;41:301-10.
crossref pmid
24) Sadda SR, Wu Z, Walsh AC, et al. Errors in retinal thickness measurements obtained by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phthalmology 2006;113:285-93.
crossref pmid
25) Roh HC, Park CY, Kim M. Changes of the macular ganglion cell-inner plexiform layer thickness after cataract surgery in glaucoma patients. J Ophthalmol 2016;2016:9785939.
crossref pmid pmc pdf

Biography

박찬준 / Chanjoon Park
Department of Ophthalmolog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1001, Jeokseon Hyundai BD
130, Sajik-ro, Jongno-gu, Seoul 03170, Korea
Tel: +82-2-2271-6603    Fax: +82-2-2277-5194    E-mail: kos@ijpnc.com                

Copyright © 2024 by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